목적과 원인의 구별-Aristotle의 인과관계
<얻어갈 개념어들>
텔로스(telos), 내재적 원인(카타 하우톤), 목적론적 접근법
사인설(四因說), 내재적 목적론
가설적 필연성, 형상인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모든 결과에는 원인이 있다." 과연 맞는 말일까요? '월식'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아리스토텔레스는 사인설을 통해 원인의 종류를 넷으로 나누었다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원인', '인과', '목적'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드리고자 합니다.
긴 말 필요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론을 분석한 아래 철학 지문을 읽어보세요.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출처: https://plato.stanford.edu/entries/aristotle-causality/
참조 및 재구성.
(연습문제 1)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론(因果論)은 존재론적 설명의 근간을 이루는 네 가지 원인—질료인(質料因, material cause), 형상인(形相因, formal cause), 작용인(作用因, efficient cause), 목적인(目的因, final cause)—을 체계화한 포괄적 이론 체계로 구성된다. 질료인은 사물의 구성 물질을 지칭하는데, 청동 조각상의 경우 청동이 이에 해당한다. 형상인은 사물의 본질적 형태를 의미하며, 조각상에서는 청동이 취하는 특정 형상이 이를 나타낸다. 작용인은 변화나 운동의 근원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개별 장인보다는 청동 주조술(青銅鑄造術)을 작용인으로 간주하여 개인의 행위가 아닌 기술과 지식의 역할을 강조했다. 목적인 또는 텔로스(telos)는 행위의 궁극적 목적을 의미하며, 조각상 제작의 경우 의도된 최종 형태 자체가 목적인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의 사상가들은 인과관계를 탐구했으나 체계적 이해가 결여되어 있었고, 그는 이들을 우연히 타격을 가하는 미숙한 권투선수에 비유하며 비판했다. 그의 네 가지 원인 이론은 진정한 지식 획득을 위해 원인의 이해가 필수적이라는 신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후기 분석론(Posterior Analytics)"에서 사물의 '왜'를 파악하는 것이 지식의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네 가지 원인을 활용하여 자연 현상과 예술 작품을 설명하는 데 목적론적 접근법을 채택했다. 그는 추상적 원리인 예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의존하지 않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그는 내재적 원인(카타 하우톤, kath'hauton)과 우연적 원인(카타 숨베베코스, kata sumbebêkos)을 구분하여 설명의 관련성과 중요성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장인을 특정인의 자녀로 묘사하는 것은 우연적 원인이며 조각상 제작 과정의 본질적 설명이 되지 못하지만, 청동 주조술은 내재적 원인으로서 조각상의 생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분은 원인이 설명하고자 하는 현상과의 직접적 연관성을 가져야 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반영한다. 그는 이 목적론적 모델을 예술 작품에서 자연 현상으로 확장하여, 심리적 개념 없이도 자연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동물의 치아 배열과 같은 자연 현상을 우연이 아닌 고유의 기능과 목적에 기반하여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궁극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적 프레임워크는 형태, 물질, 기원, 목적의 상호 연결성을 통해 자연계와 인공물 영역에서 목적성과 본질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현상에 대한 포괄적 이해의 토대를 제공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2)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에서 네 가지 원인론(四因說)은 자연현상의 총체적 이해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개념적 도구로 제시된다. 그의 『자연학(Physics)』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물의 본질이 변화 가능성에 있다고 보고,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물질인(質料因, material cause), 형상인(形相因, formal cause), 작용인(作用因, efficient cause), 목적인(目的因, final cause)이라는 네 가지 원인의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물질인은 사물의 기저를 이루는 질료를, 형상인은 사물의 본질적 특성을, 작용인은 변화의 촉매를, 목적인은 변화의 궁극적 지향점(텔로스, telos)을 지칭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네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연현상을 구성한다고 주장하며, 특히 형상과 목적, 그리고 작용인이 종종 일치한다고 본다. 이는 "인간이 인간을 낳는다"는 그의 격언에서 잘 드러나는데, 이는 완전히 발달한 인간이 생성과정의 시작점이자 종착점이며, 인간의 형상이 이 과정의 정점에서 완전히 실현됨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선대 철학자들이 물질인과 작용인에만 주목하여 자연의 규칙성과 목적성을 간과했다고 비판하며, 목적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는 동물의 치아 발달 패턴과 같은 자연현상을 예로 들어, 날카로운 앞니와 넓은 어금니의 일관된 출현이 단순한 물질적 필연이나 우연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치열 구조가 동물의 영양 섭취에 적합하다는 사실은 목적론적 설계를 시사하며, 따라서 목적인을 포함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의 규칙성과 질서는 우연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오직 목적인을 통해서만 자연 구조와 기능 간의 조화를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동시에 그는 특정 목적의 실현을 위한 필수 조건으로서 물질 과정의 역할을 인정하며, 물질과 물질적 필연성이 자연적 목적 실현의 종속적이지만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총체적 접근법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 형상, 작용, 목적의 상호의존성을 포괄하는 틀을 제시하여 자연 변화와 내재적 목적론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가능케 한다. 그의 이론은 자연 과정의 물질적 필연성과 목적지향성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자연현상의 규칙성과 질서를 설명하는 데 있어 목적인의 불가결성을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인설은 자연 변화에 대한 포괄적이고 적절한 설명을 위해 필수적이며, 물질인과 작용인이 필요조건을 제공하지만, 궁극적으로 자연 과정이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목적과 종착점을 밝히는 것은 목적인의 역할임을 강조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과론(causality theory)에 대한 심오한 탐구는 그가 제시한 4가지 원인(four causes)—질료인(material cause), 형상인(formal cause), 작용인(efficient cause), 그리고 목적인(final cause)—의 체계 내에서 목적인의 설명적 우위성을 강조하며 절정에 이른다. 질료인은 어떤 대상의 구성 물질을, 형상인은 그 본질적 형태를, 작용인은 그것을 존재하게 만드는 동인을, 목적인은 그 존재 이유인 목적(telos)을 지칭한다. 그는 가설적 필연성(hypothetical necessity)과 조건부 필연성을 구별하며, 후자가 더 광범위하지만 약한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단순히 어떤 현상의 발생 조건을 열거하는 것은 충분한 설명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반면 가설적 필연성은 특정 목적에 종속된 필요조건으로서의 물질적 과정을 통합하는 설명을 포함한다. 자연학 II권 9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물질을 가설적 필연성으로 재개념화하여, 물질적 과정의 설명적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특정 목적에 종속됨을 강조한다. 자연학에서 그는 자연 탐구를 위한 기본적 설명 도구를 구축하지만, 이것이 모든 설명적 요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함을 인식한다. 따라서 동물의 부분들 I권에서 그는 목적인의 우선성을 강조하며 인과론을 완성한다. 그는 자연적 생성을 설명할 때 목적인과 작용인이 모두 관여하므로 그 우선순위를 정립해야 한다는 문제를 제기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생성은 실체를 위한 것이지, 실체가 생성을 위한 것이 아니다"라는 격언을 통해, 과정의 최종 산물을 참조하지 않고는 자연적 생성을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예술적 제작과 자연적 생성 사이의 유비를 활용하여, 건물이 단순히 건축 행위(작용인)가 아닌 의도된 구조(목적인)로 설명되듯이, 유기체도 그 완전히 발달된 형태로 설명된다고 논증한다. 인간 척추 형성에 대한 엠페도클레스의 기계론적 설명을 비판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완전히 발달된 인간(목적인)을 고려해야만 척추의 구조와 배열을 이해할 수 있다고 강조하여 목적인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그는 엠페도클레스가 태아의 운동 능력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고, 인간이 인간을 낳는다는 사실을 간과했다고 지적하며, 이를 통해 과정에서 완전히 발달된 인간의 형태(형상인)의 역할을 강조한다. 과학적 설명이 최대 네 가지 종류의 원인을 필요로 할 수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아리스토텔레스는 목적인/형상인을 일차적 원인으로 규정하며, 이에 대한 지식이 곧 "왜"에 대한 지식과 동일하다고 주장한다. 월식과 같은 일부 사례에서는 네 가지 원인이 모두 적용되지 않는데, 월식은 엄밀한 의미에서 목적인과 질료인이 없다. 대신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작용인이 된다. 마찬가지로 청동 조각상과 같은 인공물의 제작에서도 정확한 작용인은 장인보다는 청동 주조술이며, 이는 조각상의 디자인(형상인)과 목적(목적인)의 역할을 강조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완전한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원인에 대한 가장 정확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그의 인과론은 자연과학의 맥락에서 개발되었지만, 그 적용 범위는 자연과학을 넘어 인간의 행동과 예술적 생산을 포괄한다. 자연학 II권 3장과 형이상학 V권 2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왜-질문에 대한 답으로 목적인, 형상인, 작용인 혹은 질료인을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그의 이론을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제시한다. 이 이론은 네 가지 인과의 체계적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모든 철저한 탐구에 불가결한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행자들의 인과 언어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자연 현상에 대한 그의 연구는 이 포괄적인 인과론으로 귀결되었다. 궁극적으로 그는 자연 세계를 이해함에 있어 목적인의 설명적 우선성을 강조하며, 진정한 지식은 일차적 원인에 대한 지식이라고 주장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츄라이 츄라이
-
걱정되는부분 25
지금까지는 성적이 나한테 힘이 되어주었고 그걸로 친구관계도 잘 유지했는데 대학 가면...
-
애플펜 뒤에 지우개처럼 달아서 진짜 연필처럼 만드는거임
-
수학 노베가 수특으로 개념잡아도 되는건가요?
-
저는 이제 꿈나라로 떠납니다
-
혹시 면접 본다면 생기부 면접인가요 제시문 면접인가요?
-
괜찮은건 유지하고 챙길건챙기고 포기할건포기하고 공부뿐만 아니라 인생애서도 그러지않을까 싶음
-
어카지..걍 내일 할 거 미리 풀어둘까
-
올해는 14명 뽑는과고 예비 9번떴습니다 작년엔 17명 뽑고 예비 21번까지는 합격...
-
술안주 ㅇㅈ 14
왜 와꾸가 퉈나오나
-
3개 다붙는다는 가정하에 어디가시나요...? 사실 어제도 올린글인데 어제는...
-
배부르다
-
12 5
124 56 7477
-
한달동안 시발점 수1수2 하고 미적은 아직 안햤는데 뉴런 수분감 시냅스 어떻게해야 좋을까요?
-
아 안되겠다 7
라면 최대한 국물 적게 해서 끓여야지
-
ㅇㅈ은 한개도 못보고 이게 뭐노....
-
제대로 된 수능 국어 공부는 처음인 현역입니다. 집모 의미없는 거 알지만 작수 화작...
-
허리 아픈건 참을 수 있는데 방사통 때문에 다리가 진짜 미친듯이 아픔 이거 때문에...
-
오를 수 없는 목표는 포기함 고등학교 올라오고 나서는 늘 그래왔음
-
예전엔 뭐 특슬람이니 정신이 나갔니 했는데 이당시에도 ai가 중요하다는건 뭐 그렇게...
-
네
-
수학 그 때처럼 공통 불로 내주면 안되나 이제는 집단의 평균 차이가 너무 커져서...
-
여붕이가 여성성을 드러내면 오뿌이 물소가 달려들어 여붕이를 여왕벌화함.. 여왕벌...
-
ㅁㅌㅊ
-
사설도 많긴 한데 돈쓰기 아깝거나 사설 풀기 싫은 사람들한텐 둘다 좋을듯? 문제가...
-
제 후배 잇나요 4
ㅇ?
-
저 오늘 졸업합니다 13
저도 드디어 고졸이 되네요
-
얘 진지하게 귀엽지않냐 13
내여자친구였으면좋겠어….
-
국정원 지하실은 0
수리남에 있음
-
국정원 지하실 10
국정원 지하실 ㄹㅇ 귱금해지네.. 막 북한 간첩들.. 이런 사람들 고문 받고있으려나
-
국어 공부법 0
마더텅 풀어보니까 비문학은 정답률 좀 낮아도 괜찮은데 문학은 정답률 65% 아래로...
-
얼버잠 10
얼리버드는 자러갑니다 쿨쿨 오늘은 제발 재미있는꿈 가즈아
-
일찍일어나야하지만 아직도안자고잇어 이런게길티플래져일까?
-
뭐지 전기장판 2
뜨거워서 봤더니 5로되어있었음 뭐지 난 1~2로 해놓고 자는데 어떻게...
-
그래 0
개념/스킬 교재는 그래도 정품으로 사고 나머지 모의고사는 걍 다운받던가 해야겠다
-
그냥 어느정도 여유롭게 산다는건가
-
ㄹㅇ로 개.좆.됐.다
-
이쁘면 함
-
저 강평프사;; 5
저 분 누군데요 예쁨?? ㅇ왤케 다 저 사람 얘기임
-
반수생인데 작년 현역때 주키 풀세트 사놓고 한번도 안푼게 있어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너무번거로워서 만들어달라하면 등짝 맞음 ㅠ
-
머리아플때 있음? 가끔 원인모를 두통이 생김
-
지렁이가되고싶어 2
흙을 먹는 착한친구 조금 징그럽지만 눈에 띄지만 않으면 귀여워
-
한지 세지 0
현역 때 정법 사문 응시했는데 이번에 사문은 그대로 가져가고 정법대신 한지나 세지를...
-
엄마 아빠한테 교재 더 사달라고 부탁드리고는 싶지만 교재비가 워낙 비싸서 그래도...
-
지금 Ap7 하고 있는 현역이인데요,, 2월달안에 16+4랑 ap7 복습까지 끝낼...
-
쩔었다 5
-
졸림뇨 3
40분되면자러감
-
작수 통통92점인데 공부 다시 시작한지 얼마안됨.. ㅈㄴ 휘발된거같은데 기출부터...
-
잠이들락말락
Ebs 독서관련 배경지식으로도 해주세요~~
사람들이 더 많이 볼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