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의 지난 발언들로 살펴보는 평가원의 불국어
어제 평가원이 올해 수능 시행계획 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올해 수능 국어에 대한 언급도 있었는데요.
평가원의 지난 발언들을 통해 어제 브리핑을 자세하게 분석해서
문학과 비문학을 나눠 수능 경향을 한번 예측해보겠습니다
<평가원이 생각하는 난이도>
위부터 2019학년도의 84점 불국어 수능과
그 다음해의 시험에 대한 언급들입니다.
평가원은 2020학년도의 시험에 대한 평가를
2019학년도와 같이 예전 시험들보다
중고난도의 문항들을 고르게 어렵게 내고
소수의 초고난도 문항을 출제해서 난이도를 낮췄다고 이야기합니다.
즉 평가원이 생각하는 난이도의 기준은 소수의 어려운문제>소수의 어려운 문제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난이도조절
이에 대한 언급은 재작년 불국어에서도 이어집니다.
제가 강사로써 느끼는 재작년 시험은
위에서 언급하는 평가원의 생각과 일치합니다.
헤겔지문의 난이도가 지문 자체는 어려웠지만
문제 자체의 난이도는 생각보다 낮았습니다.
그러나 시험장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풀기에 결코 쉽지 않은 난이도였습니다.
시험장에서 읽히지 않은 지문은
단지 그 지문에만 영향을 끼치는 것이 아닌 시험 전반에 영향을 끼치니까요.
아마 평가원은 이 부분에서 학생들의 생각과 차이가 나지 않았나 싶습니다.
이게 올해 수능에 대한 언급입니다.
아무래도 평가원은 2019학년도 31번과 같은 문제를 내긴 어려울 겁니다.
그러나 평가원이 계속해서 밀고 있는
전반적인 지문 난이도의 상승을 고려하고 있는 듯 합니다.
작년 시험이 아마 테스트였던 것 같은데 작년 시험에 대해선 "고난도 문제들이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했다"라고 언급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초고난도의 문제를 내지 않되
헤겔 지문과 작년 수능들의 지문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헤겔 지문에서 예상 외의 결과를 받았으니까요.
하지만 정확한 난이도의 측정은
아마 6월 9월 평가원에서 이루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헤겔 지문 이후로 많은 친구들이 그정도 난이도에 적응을 했을테니까요.
다음은 문학입니다. 차례로 재작년 시험과 올해 시험에 대한 언급들입니다.
재작년 시험은 문학이 굉장히 어려웠습니다.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22번과 23번 현대시 문제가 오답률 순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두 문제는 비연계 지문이었던
(가)지문의 이육사 초가 지문이나 (다)지문의 선지들이 어려웠습니다.
이것으로 볼 때 사실 ebs연계체감도를 높인다는 말은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제 개인적인 느낌으론 ebs작품을 내긴 할테니까
문학 리미트 없이 어렵게 낼게~라는 말로 들립니다.
평가원이 생각하는 비문학에서
가장 어려운 난이도인 소수의 초고난도 문제를 낼 수 없다면
비문학뿐만이 아니라 선택과목과 문학에서 난이도를 높여야
전반적으로 어려운 시험이 구성될겁니다.
오늘은 이렇게 평가원의 과거 발언들을 토대로 본
올해 수능에 대한 생각들을 담아봤습니다.
사실 시험에 대한 모든 것들을 완벽하게 예측할 수 없으나
아이들을 많이 가르쳐본 입장에서
무조건 어렵게 나온다고 생각하고 공부했던
친구들의 성적이 다 좋았던 것 같습니다.
어느덧 추운 겨울이 지나가고 따뜻한 봄이 왔네요.
수험생 입장에서 봄이 얼마나 힘겨운지 알고 있습니다.
공부를 다시 시작하는 막막함도, 모든것이 처음인 고3생활도,
멀리서나마 홀로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는 수험생분들을
진심을 다해 응원합니다.
아마 하루나 이틀내로 3평 문학에 대해 글과 영상을 올리려고 합니다.
단순히 그냥 어려웠다라는 평 말고 왜 어려웠는지,
출제자들이 어떻게 난이도를 조절하고
우린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그 모든 이야기들을 담아보겠습니다.
0 XDK (+1,000)
-
1,000
-
오늘은 조용하네
-
이모드깔고 바닐라로 새 인생 살고싶어졋는데 얻덕하냐 또 엔딩에서 한발짝멀어짐
-
오늘뭔날인가 진짜 비냉먹고싶어서 눈물나어는데 왜이러는거냐
-
6일 정도 나오려나. 별루 없네
-
뭐 140살까지 살고 그런다는데 진짜 140년동안 뭐해야함?.?... 140살까지...
-
아깐 우울했는데 지금은 거의 조증 수준으로 고양()되어있음
-
오늘 밤 다시뵈요
-
롤체가 재밌는듯 내가 원챔유저라그런가..
-
새르비 장점 1
특정 당할 확률 적어서 좀 더 솔직해져도 됨
-
10년안에 인공지능 발전해서 특이점오는데 그냥 놀아도됨 당장 학원다 그만두세요
-
새벽 헬스완 4
아 유산소 개힘드네
-
배고파 0
비냉먹고싶어..
-
썬크림 바르고 잘뻔햇네 휴
-
댓글은 하나도 없는데
-
맞팔구 14
은발테닝테두리를 받고 싶도다.. ?
-
72점 뭐지 필기 이리 쉬운거였음?
-
비냉먹고싶어 5
이시간에 배고파지면 개노답인데
-
마음이편안해진다
-
이모 잘게 5
진짜로
-
레어 좀 사줘 5
부탁좀할게너무거슬려자꾸나따라다니는찐따친구같아
-
늦잠 잣다 4
근데 늦게 잠든거라 상관없다
-
학식에 냉면나옴 2500원임 곱빼기가 +500원인가 그러는데 이건 대야에 나옴
-
미적은 신이구나 2
어제배운 미분법으로 이게 증명가능하네 캬
-
어쩌다 도입됐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한국은 나이로 줄세우는거 꼭 해야하는데...
-
뭐지 4
뭐엿을까
-
있음?
-
각ㄱ각 12월말 1월초에 태어나면 1~2주차인데 그 차이때매 언니오빠형누나되눈게신기하지않냐
-
곧생일인데 4
ㅈㄴ 기대 하나도 안된다
-
이별하지않기 9
잘자라
-
너무 젊음만 멋지고 찬란하게 묘사되고 어렸을 때 처리하거나 결정되는 일이 너무...
-
을의 연애를 한다. 근데 이거 ㄹㅇ임. 갑의 연애를 하고싶은사람들은 갑질의 대상을...
-
1일 1스벅 사줄 수 있음
-
고딩때가 좋앗던거같다 11
그땐 걱정이라곤 대입밖에 없었는데
-
왜 없지..? SRT 원래 세시에 취소표 푸는거 아니었나
-
기능 3수 도로 3수
-
사문 8
불명+림잇 동시에 할건데 낫배드? 배드? 개념 진짜 개빡세게 잡게
-
내일 첫 기능 연습인데 13
조심조심 마인드로 할까요 아님 아무도 날 막을 수 없다 마인드로 갈까요?
-
그냥 내 앞에 누가 있냐 없냐도 아니고 내가 cc냐 bb냐로 결정되는거니깐...
-
결과가 확실한 성취감+무아지경에 빠지는 느낌이 좋음 어쩌면 생산직이 내 적성일지도...
-
투표ㄱㄱ 3
배성민 드리블 vs 김범준 카이스 아나토미 vs 현우진 수분감
-
모트독님께서 재조합기 확률을 올려주셔서 완벽한 ㅈ트오버에서 완벽한 악성바이러스로...
-
전적대는 왔는데 다른학교도 보통 오나요?
-
고민이 많아요. 수학 인강 여러 사람 커리 조금씩 발췌해서 따라가는게 정말...
-
이름이 이거 비슷한거여슨ㄴ데 산화당함 맞으면 선착순 한명 만덕
-
ㄱㄴ?
-
명문대 다니는 사람들아 댓글로 내가 명문대 다닌다는 거를 체감했을 때 일 적어보셈
-
모고 4등급 받는 사람인데.. 이번에 어삼쉬사 풀려고 어삼쉬사 문제집 샀는데 문제가...
-
그래그래형은방금 캐럿캐럿 99를달앗어
-
작수 통통이 92점이면. 통통이 내에서 상위 1프로는 되나여?
저도 국어를 어렵게 출제한다면 비문학에서 100점 방지급의 초고난도 문항을 1~2개 밖아 둬서 어려운 시험을 만든다기보다는 전반적으로 문학과 선택과목에서 (어렵다기보다는) 시간소모가 큰 문제를 많이 밖아 둘거라고 생각이 들더라고요ㅋㅋㅋ..
맞습니다. 아마 비문학에서 중고난도 문제를 높이는 시도를 재작년엔 너무 어렵게 해서 실패하고 작년엔 너무 쉽게 해서 실패했으니 그 사이를 노릴거고 그 간격을 메꾸기 위해 문학의 난이도 조절이 될것같네요. 내일은 3평 문학에 대해 왜 어려웠고 출제자들이 어떻게 난이도 조절하는지 적겠습니다! 한번 참고해보셔요
화작-문학-비문학의 순서로 푸는데 만약 선택과목,문학이 어려워지고 동시에 비문학도 쉽지 않은 시험이 된다면 시간이 진짜진짜 촉박할수도 있겠네요... 고난도 문학을 대비해야되나..
전 문학에서의 변별을 보고 있습니다. 제가 내일 문학의 난이도 조절과 어떻게 대비해야할지 적어놓을테니 꼭 참고해보세요!
감사합니다!! 딱 기다리고 있을게영
19년도에 수능을 응시했었고 국어 영역 문제는 수업을 위해 계속 풀고 분석하다보니 막연하게 갖던 생각이 작성하신 글을 읽으니 정리가 되네요. 경향이란 것이 예단하기 쉽지 않지만 문학은 예전에도 그랬지만 더 꼼꼼히 대비해야할 영역이 되어간다는 느낌이 듭니다. 다음 글도 기대됩니다
국어를 분석하고 계시다니! 너무 반갑습니다
국어에 대해 이렇게 소통할 수 있게 되어 너무 반갑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이원준이 문학 10년동안 내내 쉬워졌고 앞으로도 어렵게는 못낸다는데
이원준 선생님 굉장히 존경합니다
이원준 선생님의 안목과 실력이 국내 최고라고 생각하기에 이원준 선생님 의견도 많은 신뢰가 갑니다
다만 위의 내용은 평가원과 오답률의 측면에서만 본겁니다. 학생분이 여러 정보들을 자신의 선호에 맞게 잘 받아들이실거라고 봅니다!
그렇다기엔 22수능은 어려운데요?
진지하게 22문학이 10 11년도 소설 시점문제정도로 헬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앗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