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서 칼럼] 가장 기본적인 태도: 분류 (15수능-칸트의 취미판단 이론)
간단 스펙
2023 수능 언매 백분위 100
2023 6월 평가원 모의고사 백분위 98
2022 LEET 언어이해 28/30
2022 시행 4,7월 교육청 원점수 100
국어 과외 진행중
국어 독학서 제작중
안녕하세요! 오늘은 글을 읽음에 있어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태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이렇게 노트북 앞에 앉아서 칼럼을 쓰게 되었습니다.
독해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훌룡하신 선생님들, 칼럼러분들, 저자 분들께서 각자 다양한 형태로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계십니다. 어떤 분께서는 그냥 읽고 그냥 풀자, 흔히 그읽그풀이라고 불리는 태도를 중요시하시고, 어떤 분은 구조를 강조하며 독해를 해나가야 한다고 이야기 하십니다. 물론 독해에 있어서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읽든 결국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를 잘 풀 수 있으면 장땡이니까요.
그러나 시간을 줄이고, 또한 내용 이해를 더욱 빠르게 하는 방법은 분명 존재합니다. 저는 기출을 분석하고, 제 독해 과정을 가시화하면서 몇가지 중요한 태도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가시화에 대한 칼럼을 이전에도 쓴 적이 있으니 이 글을 읽으신 후 같이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어 칼럼] 사고의 가시화
https://orbi.kr/00060420118/%5B%EA%B5%AD%EC%96%B4%20%EC%B9%BC%EB%9F%BC%5D%20%EC%82%AC%EA%B3%A0%EC%9D%98%20%EA%B0%80%EC%8B%9C%ED%99%94-%ED%95%B4%EC%84%A4%20%EC%9E%91%EC%84%B1
여러가지 태도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저는 분류라고 생각합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분류는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 지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왜 분류를 해야 할까?
분류의 사전적 정의를 가져와 봤습니다.
분류 : 개념이나 주체를 인지하고, 차별화하고, 이해하는 과정
분류는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특정 개념, 대상 등을 어떤 키워드 아래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많은 상황에 분류를 적용합니다. 빨래를 상의, 하의, 속옷 등으로 분리하는 작업부터, 수능 수학을 공부하며 여러가지 개념들을 단원 별로 구분하고, 문제들을 하나의 유형으로 묶어서 구분하는 작업까지 이미 분류는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제가 수능 독서 지문을 읽어나가는 데에 있어서 분류가 특히 중요하다고 하는 것일까요?
답은 바로 '기출'에 있습니다. 평가원 기출에 등장하는 선지들을 살펴보면, 단순히 개념들의 분류만 가지고 선지 판단이 가능한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또한, 개념을 인지하고 구조화하는 작업에서 분류는 가장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개념이 어떤 개념 아래 속하고, 다른 개념들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분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저는 수능 독서를 '교과서를 10분 안에 읽고 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장의합니다. 우리가 수학, 과학, 사회 등에서 개념을 학습하고 문제를 푸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독서 지문을 읽으면서도 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에 속하는 행동들을 해나가야 합니다. 여기서도 우리는 분류가 독서에서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습니다.
2. 어떻게 분류를 해야 할까?
수능 독서에서의 분류는 특정 집합을 설정한 후, 그 집합 안에 해당하는 원소들을 지문에서 하나씩 찾아서 집합에 넣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문에서 설명하는 내용의 구조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대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15수능에 등장했던 칸트의 취미판단 이론 지문을 가지고 직접 같이 분류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문단부터 두 입장의 대비되는 견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합리론은 이성에 의한 지식을 중요시하지만, 칸트는 미적 감수성(=미감적 판단력) 또한 이성만큼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합리론, 칸트라는 집합을 설정하고, 원소들을 집어넣으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합리론 | 칸트 |
이성에 의한 지식 | 미감적 판단력 |
2문단에서도 이성적인 판단과 미감적 판단력이 서로 대조되며 각각의 특징들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성, 미학이라는 집합을 설정하고, 지문에 등장하는 특징을 원소로 보고 집어넣으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성 | 미학 |
(보편적) 개념 규정적 판단 객관적 성질 보편성, 타당성 | 취미 판단 미감적 판단력 미/추 주관적 감정 |
여기까지 분류를 해보고, 27번 문제와 29번 문제의 1번 선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27. 윗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칸트는 미감적 판단력과 규정적 판단력이 동일하다고 보았다.
=> 분류를 제대로 했다면 틀릴 수 없는 선지입니다. 규정적 판단력과 미감적 판단력은 서로 다른 집합에 속하는 원소로, 칸트가 동일하다고 보았다는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② 칸트는 이성에 의한 지식이 개념의 한계로 인해 객관적 타당성을 결여한다고 보았다.
=> 앞서 진행한 분류에 의하면 이성에 의한 지식은 객관적 성질을 원소로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칸트가 객관적 타당성을 결여한다고 보았다는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③ 칸트는 미적 감수성이 비개념적 방식으로 세계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창출한다고 보았다.
=> 역시 객관적 성질은 이성에 속하는 원소로, 미적 감수성이 객관적 지식을 창출한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④ 칸트는 미감적 판단력을 본격적으로 규명하여 근대 초기의 합리론을 선구적으로 이끌었다.
=> 칸트와 합리론은 아예 반대되는 집합입니다. 칸트가 합리론을 선구적으로 이끌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⑤ 칸트는 미적 감수성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 인간의 총체적 자기 이해에 기여한다고 보았다.
=> 제가 올려드린 지문에는 등장하지 않으므로 해설은 생략하겠습니다. 5번이 맞는 선지입니다.
29. 윗글을 통해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개념적 규정은 예술 작품에 대한 취미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 개념적 규정은 이성에 속하는 원소로, 미학에 속하는 원소인 취미 판단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단순히 분류만 해보았는데, 벌써 5개의 선지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분류를 정확하고 빠르게 하는 것은 지문 이해에도, 문제 풀이에도 매우 중요한 태도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고 난 뒤, 2309인문 지문인 아도르노 미학의 의의와 한계, 17수능인문 지문인 콰인&포퍼 , 11수능과학 지문인 그레고리력 지문을 풀어보시면서 분류에 대한 감각을 더 키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독해 태도에 대한 칼럼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신 : 좋아요와 댓글은 칼럼러에게 매우 큰 힘이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속보] 尹 내란죄 형사재판 변호인단에 `거물급` 황교안 합류 1
尹대통령 형사재판 재판부에 변호인 선임서 제출 黃, 朴정부 법무장관·총리에 대통령...
-
일단 국어가 3 이상이라는것부터 괜찮은데
-
기도 3일차 0
48명모집 신설과인데 예비 15번 이거 안되면 그냥 자살이 낫겠죠?
-
허리가부셔질만큼허리띠를꽉졸라매.
-
1학년때 세미나 빼고 안듣고 재수했다 망해서 다시 복학하는데 수강신청을 뭐...
-
개피곤했나봄... 그러고 1시간동안 폰만 보는 중
-
공부잘하는법 0
공부열심히하기
-
다들 요즘 숏패딩만 입더라.......... 숏패딩이 이쁘긴혀
-
1지망!!! 무족건!! 부틀꺼야!!!! 걱정하지마!!
-
최초 등록금 어디서 내요? 등록금 어디다가 내라는말이 없던데
-
인설약보내주면 12
기어서등교함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추워 ㅅㅂ 14
-
확4 = 미1 9
반박시 대머리
-
행복하세요 2
제발 행복하세요
-
두려움 왜인지는모름
-
우리동네는 5천원이네요
-
큰일났다 2
여태까지 발톱 둥글게 깎는건줄 알았는데 반대로 알고 있었음 오늘 발톱 부분이 아파서...
-
??
-
시대 재종 0
시대재종 성적선발 평가원도 영어2등급 1등급으로 반영하나요?
-
지방대 대형과고 예비 엄청 앞번호라 걍 한번에 도는 정돈데 아빠가 자꾸만 예비는...
-
아이고두야 0
으악
-
Lateral raise....존나 아파...
-
작수 미적선택 27282930 4틀했음.. 1년 더할꺼면 뭐가나을까요 확통은 내신...
-
미적 1등급 받는데 5월부터 n제 풀어도 충분한가요? 6
현역인데 계획 세우다 보니까 기출도 꼼꼼히 보고 학교시험도 치르다 보면 5월은 돼야...
-
점수 체계 개같이 정상화됐네요.. 이러면 24시간만 채웠어도 된건가
-
ㅇㅇ?
-
방학동안 미적분 0
방학동안 미적분 어느정도 하고 가나요?
-
스바루 ㄹㅈㄷ 하남자네 진짜
-
추워쥭을것같읒
-
디자인 솔직히 좀 짜치긴 한데 성능은 어떤가요
-
제약조건만 피하면 그냥 좋아하는거 고르면됨 1과목해서 설의 못가고 사탐제약...
-
제가 서점에서 확인해봄
-
집오는 버스에서 어떤 아저씨가 뉴토끼로 나혼렙보고있더라 ㅋㅋ
-
사문이랑 하나 뭐할까요 한의대랑 이의(인문) 목표임 ..ㅇㅇ
-
저한테 돈을 넣어주세요 20
저금통입니다
-
최지욱쌤 디자인N이랑 불도저는 너무 어려워서 울면서 풀었던 기억이 있어서 차마 못...
-
안타깝노(진심아님)
-
이제 2세트.... 오늘은 3세트 해야지... 내일 팔굽혀펴기 한댔음....
-
엉망징창 졸리다
-
비문학 독해할 때 나는 읽으면서 최소 여기까지는 봤다고 설명해주는데 과외돌이는...
-
서울 원룸 0
어느정도가 적당?
-
성대 1차 추합 1
언제 나오나요?
-
하 제발 5
합격시켜줘 플리즈 수능때보다 더 긴장됨
-
여행이랑 겹치는데
-
좋아요누르면1지망붙음 34
그리고 내 설의합격확률도 올라감
-
이대 서울교대 9
이대는 특수교육 서울교대는 초등교육 저는 초등교사 하고 싶은데 막상 이대 합격하니...
답글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사실 댓글 하나도 없어서 매우 슬퍼하던 중이였는데 다시 힘이 생기네요 ㅋㅋㅋㅋ 기출 풀어보시고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주세요!
넵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