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전에 체크할 언매 개념 정리
반모음 vs 모음.pdf
9평 전에 썼던 자료에 수정할 거 수정하고 9평 기출 요소 조금 첨가한 거라 전에 다운 받은 거 있는 분들은 전 자료 사용하셔도 되지만 왠만하면 새로 받으시는 게 나을 거에요. 막바지 가을인데 모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원하시는 결과 얻으세요~
@@@ 보어가 아닌 되다 예시에서 "가수가 되다-> 밥이 다 되다"로 바뀌어야 합니다. 오류내서 죄송합니다
좋아요는 당연하죠??
0 XDK (+100)
-
100
-
걍 헬스마렵노
-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처리속도?
-
초콜릿 상자는 0
-
고릴라랑 진심 악수대결 하면 내가 지나 나도 한 악력 하는데
-
자기대학 혹은 학과 + 큐브에서 자기가 한 활동내역 사소한거라도 말하면 특정당함...
-
공도 28 29보다 이차곡선 27번이 더 어려운데 정상인가 ㅋㅋ
-
투표(필참요망) 10
투표 결과는 좋은 곳에 사용하겠습니다.
-
나도고닉임? 3
이제 올해 동국대 복학하면 오르비 고닉이라고 소문나는거임?
-
나 고닉이냐 3
-
내가 팔로우 하고있으면 호감고닉임 ㅇㅇ
-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걸. 아.
-
다 고닉임
-
ㅈㄱㄴ
-
아
-
소..솔직히.. 11
07은 1년 더 기다려야 한다고 생각해요…
-
농담
-
하지만 주변 친구들 전부 내가 오르비 한다는건 앎
-
경북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경북대 25] [기숙사별 장단점부터 생활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경북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경북대학생, 경북대...
-
유동이 없잖아 유프사에 팔로워 좀 많으면 대충 고닉으로 치는건가
-
특정싫어 2
특정싫어특정싫어특정싫어
-
음 그래그래 이 맛이지
-
N수기도 하고 원서 접수한 시점부터 급하게 공부한거라 따로 인강듣는거 없었고 ㅈㄴ...
-
이미당했는데 별 문제 없더라
-
응애
-
시대 대치랑 강대s2둘다 붙었눈데 어디가 더 괜찮은가요? 밥이니 거리는 상관없습니다
-
예비 고3 정시러입니다 당연히 선생님들이 정시를 별로 안좋아해요 공부를 하다가도...
-
3모 목표 3
국어 98 수학 99 영어 95이상 지1 백분위 100 사문/경제 1등급 솔직히...
-
나형 출신이라 미적 다 풀어볼 수 있음
-
으음.. 얼마려나 쨋든 이제 조금ㅁ 이따 밥먹고 잘 듯
-
ㅇㄸ?
-
피램주문했는데 오르비박스?같은거 와서 강제로 오르비언 입증하고 오르비언...
-
바로 쓰러간드앗
-
재주도 좋다 제주사람들
-
에피 빨리받고싶다 10
잘리진않겠지 설마?
-
이정두면 2
현역 국숭세단 -> 재수 서성한 잘한건가요?
-
잘모름
-
3모 목표 0
탐구만 성공할 듯
-
ㅋ
-
내년에 수시교과로 인서울 뱃지 뜯어온다
-
ㅠㅠ
-
믿는다
-
카이스트 원서 넣을걸 12
은테 요루시카프사랑 카뱃 진짜 잘어울릴거같은데..
-
왜 자꾸만 후회했는지 나의~
-
이제 2학년 올라가는 학생인데 현우진 시발점 듣고 있어요 시발점 내용이 많아서...
-
공통 자신있는데
-
맞팔구 2
-
가즈아!!!!
-
고2랑 고3 교육청 문제 결이 다르냐 물어본거임 수1수2
합성추
뽀뽀와랄랄
이거 보고 언매하기로 했다
크롱크롱
화작이지만 좋아요눌럿읍니다
굿
화작이지만 개추
piram_04.png" width="114" height="114">
피램 만세
이중모음화란 이름으로 이중모음을 1개의 음운으로 봤기 때문에 축약의 일종이고 반모음화로 보면 교체가 되는데 언매는 후자인가 보네. 최근에 바뀐 거임?
ㅣ+ㅓ-->ㅕ : 이중모음화(축약)
ㅣ+ㅓ--> 반모음ㅣ+ㅓ : 반모음화(교체)
이중모음을 하나의 음운으로 판단하면, 두 음운이 한 음운으로 ‘축약’된 현상으로 처리되지만 이중 모음 자체를 지금은 '단모음+반모음'으로 이루어진 2개의 음운으로 보면, 단모음인 /ㅣ/가 반모음인 /j/ 로 ‘교체’된 현상으로 처리되는데 언매에서는 후자구나.
'되어>돼'는 음절의 축약으로 보아 축약이 되는 거네. ㅚ가 체계상 단모음이니까 ㅚ+ㅓ-->ㅙ가 되고 ㅙ는 w가 있긴 하지만 IPA로 보면 [tøʌ]→[twε]이기 때문에 두 단모음(ㅚ, ㅓ)이 하나의 이중모음(ㅙ)으로 바뀌는 축약으로 보는 듯.
아니면 되어를 /töə/로 봐도 결국 /twe/가 되니까 ipa상으로는 축약이겠네. ipa 말고 정확히 어떤 과정으로 설명해야 되는지는 모르겠다....
땡스
예시 파멸적
웬
Thanks
나이스
설명 의문문 : 뭐하'노'
판정 의문문 : 밥 먹'나'
갱상도 사람 확실하네
님 근데 보어 설명할 때 두자리 서술어인 '되다' 설명 좀 애매한 것 같은데. 여기서 '가수가 되다'를 '밤이 되다'로 바꾼다 해도 '밤이'를 주어로 보기엔 무리가 있을 것 같음. 오히려 주어가 생략이 된 문장으로 보는 게 좋지 않을까? '봄이 되다/겨울이 됐다'에서는 주어인 '계절이'가 생략되었을 거고 주어와 보어를 요구하는 '되다'와 같은 경우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상 주어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보어는 거의 생략될 수 없으니까 밤이 되다'도 '()가 밤이 되다'로 보는 게 좋지 않을까?
밤이 되다는 그닥 어색하다 느껴지지 않지만 일리가 있네요. 밥이 다 되다 정도면 적절할까요? 코멘트 감사합니다
그게 좋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이건 내가 순수하게 궁금해서 물어보는 건데 학교문법에서 '되다' 앞의 성분을 보어로 보지 않을 때가 있긴 함? 언매에서도 이렇게 가르치나?
오 새로 배웠네. 근데 확실히 논란이 될 만한 부분이라 웬만해선 수능에는 안 나올 것 같다.